원글 페이지 : 바로가기
살까 말까 고민 중인 직장인들, 일단 디아블로 4 가격부터 알아보자 디아블로의 가격은 일반판 84,500원 – 직장인 적절 디지털 딜럭스 에디션 122,900원 – 프리미엄 시즌 배틀패스.. 당긴다.. 하지만 직장인에게 부적절 (개인적 의견) 얼티밋 에디션 136,400원 – 볼 것도 별로 없음, 직장인에게 매우 부적절 (개인적 의견) 오픈 베타 이후 많은 사람들이 95,000원이나 쓰기엔 아깝다와 이 정도면 충분하다란 의견으로 많은 의견다툼이 있었고 결국 1월 18일 블리자드에서 일반판 95,000원에서 84,500원으로 인하하는 이슈가 있었다 하지만, 12일 기준 출시 5일 만에 매출 6억 6,600만 달러(한화 약 8,480억 원)를 기록했으며, 회사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 밝힐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다. 블리자드가 공개한 디아블로 4 플레이 기록에 따르면 전 세계 플레이어가 성역에서 보낸 시간은 2억 7,600만 시간. 3만 년 이상 플레이한 셈이며, 얼리 액세스 이후 죽은 악마 숫자는 2,760억 마리다. 전 세계 인구 35배에 해당하고, 최종적으로 하드코어 모드에서 최대 레벨에 도달한 영웅은 163명이라고 밝혔다. 출시 5일 만에 하드코어 최대 레벨 달성한 163명 존경하고 존중한다, but 그대들은 우리 직장인의 경쟁상대가 아니며 주머니를 열게 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도대체 이게임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플레이하고 있는지 어떤 재미가 있고 내 계좌에서 84,500원이 빠져나갈 가치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자 #1 다양한 직업과 나만의 빌드 왼쪽부터 야만용사 , 강령술사 , 원소술사 , 도적 , 드루이드 디아블로 4 직업은 야만용사, 강령술사, 원소술사, 도적, 드루이드 5개 이며 간략하게 한 줄 소개를 하자면, 야만용사 – 강력한 근접 데미지와 분노 시스템 우수한 탱킹능력이 있는 대기만성형 직업 강령술사 – 소환수를 이용하여 공격하거나 자원으로 사용하여 뼈창등의 스킬을 사용하는 직업 원소술사 – 빙결,번개,화염 원거리의 강력한 원소 마법을 사용하는 직업 도적 – 활,회전칼날,맹독 덫, 은신을 이용하여 본인만의 다양한 빌드를 구축할 수 있는 직업 드루이드 – 야만용사의 먼친척으로 자연과 야생 동물들의 힘을 빌려 싸우고 자신도 야수로 변신하는 직업 디아블로 4는 모든 직업에 각자만의 개성이 있고 그 속에서도 각자 유저만의 빌드로 본인만의 캐릭을 만들어 가며 플레이 할 수 있다. 최근 k게임 처럼 정해진 똑같은 스킬을 배우고 동일한 방식으로 아이템 등급만 강해지는 게임의 부류가 아닌 이것 저것 시도하며 본인만의 최적화 된 스킬빌드로 직업을 키워가는 재미를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2 의외로 착한 요구 사양 일단 결론 먼저 말하자면 생각보다 사양이 착한 편이다. 물론 공식적으로 공개된 사양은 최소 및 권장 사양뿐이라 디아블로 4의 그래픽을 실감 나게 느끼기 위해선 더 좋은 시스템을 요구하겠지만, 그것을 감안하여 고사양 그래픽 환경을 예측해 봐도 요즘 나오는 신작 게임에 비해서 요구하는 사양이 굉장히 낮은 편에 속한다. 좀 더 확실히 비교하자면 작년에 출시한 ‘디아블로 2: 레저렉션’보다도 요구하는 사양이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게임이 하고 싶어 컴퓨터를 바꿔야하나 하는 생각을 하지 않고 “어라? 이 정도면 내 컴퓨터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겠는데?” 라고 희망을 가지게 하는 사양 수준이다. #3 방대한 오픈월드 디아블로4는 시리즈 최초로 오픈월드를 도입했고 성역의 모든 부분을 막힘없이 보여준다. 방대한 오픈월드는 기존 시리즈와 달리 메인 캠페인 진행 상태와 관련 없이 모든 지역을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다. 의지에 따라 유저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탐험을 추구하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모든 장소에 레벨 스케일링이 적용되어 적의 수준이 현재 캐릭터 레벨에 자동으로 맞춰진다. 심지어 같은 던전을 계속 들어가도 캐릭터의 성장에 따라 적이 맞춤으로 강해져 한층 쉬운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 물론, 유저 본인이 원한다면 메인 스토리를 따라가며 퀘스트를 클리어해도 충분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퀘스트 완료 경험치는 상당히 많은 편이고 보상 또한 각종 장비 및 재료를 지급해 콘텐츠에 유용하게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