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 디아블로 4 스킬, 디아블로 3과의 차이점과 빌드 가이드

원글 페이지 : 바로가기

디아블로 4 무슨 스킬을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 고민되시죠? 그래서 디아블로 3과의 차이점을 간략히 소개하고 나만의 빌드 만들기 방법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디아블로 4와 디아블로 3의 스킬 시스템 차이점 설명 1. 특정 스킬 선택이 강제되지 않습니다. 디아블로 3에서는 강해지려면 필수로 세트아이템을 착용해야 했고, 세트 아이템에서 명시한 스킬만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 이유는 세트템에서 지정한 스킬만 대미지가 몇 천배에서 몇 만배 증폭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자유도가 떨어졌었죠. 디아블로 4는 세트 아이템이 없습니다. 그리고 아이템 부위별로 붙는 전설 옵션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레어 아이템을 구해서 위상 시스템을 이용해 원하는 전설 옵션을 붙여서 사용하면 됩니다. 그래서 원하는 대로 스킬을 선택할 수 있고, 아이템 부위별로 원하는 전설 옵션을 붙여서 플레이하시면 됩니다. #위상 시스템이란? 아이템에 전설 옵션이 나오면 전설 옵션만 추출하여 다른 아이템 혹은 다른 부위에 해당 전설 옵션을 이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렇게 추출한 전설 옵션을 위상이라고 부르는데, 위상은 전설 아이템에서만 추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특정 던전을 깨면 계정 귀속으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상을 주는데 이것을 힘의 전서라고 부릅니다. 2. 스킬 쿨타임이 생겼습니다. 디아블로 3에도 스킬 쿨타임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세트 아이템과 전설을 이용하여 스킬 쿨타임을 0으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디아블로 4는 스킬 쿨타임을 줄여주는 아이템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스킬 쿨타임을 줄이려면 스킬 빌드 조합을 잘 짜셔야 합니다. 물론 디아블로 3처럼 스킬 쿨타임을 줄이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서 빌드별로 스킬 쿨타임 줄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디아블로 4 개발진은 캐릭터의 다양성을 목표로 개발/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개발진 인터뷰에서 말하길 “우리는 정답이 없는 게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라고 했답니다. 실제로도 클로즈 베타 때부터 오픈 베타 때까지 패치 내역을 보면 약한 스킬은 강하게 하고 있고, 강한 스킬은 약하게 만들고 있더군요. 디아블로 4 나만의 빌드 만들기 방법 디아블로 4 스킬 개수 스킬 등록칸은 스킬을 최대 6개까지만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캐릭터 공통 긴급 회피기 1개 해서 스킬은 총 7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참조. 그럼 이제부터 각 각 스킬 등록칸에 무엇을 넣어야 하는지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디아블로 4 스킬 등록칸 + 긴급 회피기 이미지 스킬 선택 시 유의 사항 모든 스킬을 자유롭게 선택하셔도 되지만 스킬 조합 효율을 높이려면 속성을 일치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스킬 선택 팝업창에서 스킬 위에 마우스를 올려서 보면 스킬에 속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참조 디아블로 4 스킬 속성 이미지의 스킬은 도적의 기본 스킬인데 암살과 명사수로 나뉘어 있죠? 이렇게 암살을 선택하셨다면 다른 스킬들은 속성이 암살인 것을 선택하시면 효율이 가장 극대화됩니다. 이유는 스킬 트리 가장 마지막에 있는 “핵심 지속효과” 때문인데요. 핵심 지속 효과는 특정 스킬 속성만 강화를 해주어서입니다. 스킬 등록칸별 스킬 특성 선택 방법 마우스 좌측 버튼 스킬 기본 스킬이라고 불립니다. 자원이 없어도 무한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캐릭터 생성하고 플레이 후 첫 레벨업 때 바로 선택을 하실 수 있는데, 여기에는 스킬 설명을 읽어보고 “자원 생성 + 적 상태 이상 발생 기능”이 있는 스킬을 넣으시면 됩니다. 특정 캐릭터에 따라서는 자원 생성 기능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예 : 원소술사, 도적 마우스 우측 버튼 스킬 핵심 스킬이라고 불립니다. 자원을 소모하여 적을 강력히 공격합니다. 말 그대로 딜 누적에 가장 중요한 스킬이라 다른 스킬들은 핵심 스킬이 가장 강하게 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킬입니다. 스킬 선택 팝업 창에서 마음에 드는 스타일의 스킬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키보드 1번 버튼 스킬 내 캐릭터 생존기를 넣으시면 됩니다. 생존기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순간 이동 스킬, 방어력 상승 스킬, 적을 끌고 오는 스킬, 적을 기절시키는 스킬”등이 있습니다. 캐릭터별 대표적 생존 스킬을 뽑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야만 용사 : 철갑 피부 (보호막 생성) 도적 : 그림자 걸음 (저지불가 상태가 되어 순간 이동) 원소술사 : 얼음 갑옷 (보호막 생성) 드루이드 : 쇠약의 포호 (적들이 주는 피해량 감소) 강령술사 : 피 안개 (일정 시간 면역 상태가 됨) 물론 이 기술만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스킬 팝업 창에서 스킬들을 읽어보고 원하시는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키보드 2번 버튼 스킬 군중 제어기를 넣으시면 됩니다. 군중 제어기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적을 기절 시킴, 적을 취약하게 만듦, 적을 끌어옴, 적을 밀쳐냄”등이 있습니다. 캐릭터별 대표적 군중 제어기를 뽑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야만 용사 : 도약 (적들을 밀쳐내고 감속시킴) 도적 : 연막탄 (적들을 멍해지게 만듦) 원소술사 : 얼음 칼날 (적들을 취약하게 만듦) 드루이드 : 맹독 덩굴 (적들을 이동불가 상태로 만듦) 강령술사 : 노화 (느리게 만들고 기절시킴) 키보드 3번 버튼 스킬 마우스 좌측 버튼 스킬, 마우스 우측 버튼 스킬, 키보드 1번 스킬, 키보드 2번 스킬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스킬을 넣으시면 됩니다. 캐릭터 특성화 스킬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스킬 조합을 근접 공격 위주로 선택하셨다면 근접 공격할 때 유리해지는 스킬을 넣고, 원거리 위주로 선택하셨다면 원거리 공격할 때 유리해지는 스킬을 넣으시면 됩니다. 캐릭터별 대표적인 특성화 스킬을 뽑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야만 용사 : 파열 (누적 출혈 대미지를 한 번에 모두 줌) 도적 : 암흑 주입 (핵심 스킬을 암흑으로 강화시켜 줌) 원소술사 : 눈보라 (적을 빙결시키고 주는 대미지 20% 증폭) 드루이드 : 짓밟기 (곰으로 변신하고 저지 불가가 되어 적에게 돌진) 강령술사 : 시체 촉수 (적을 끌어당기고 3초간 기절시킴) 키보드 4번 버튼 스킬 일명 필살기라고 부르는 궁극기입니다. 짧은 시간 동안 캐릭터를 굉장히 강화시켜 주는 스킬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단 스킬 쿨타임이 매우 길어 정말 위급할 때 사용할 스킬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캐릭터별 대표적인 궁극기 스킬을 뽑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야만 용사 : 광전사의 진노 (60초 쿨타임, 5초 동안 광폭화 및 저지 불가가 됨) 도적 : 화살비 (60초 쿨타임, 넓은 지역에 화살비를 뿌리고 3초 동안 적을 넘어뜨림) 원소술사 : 냉대 (60초 쿨타임, 4초 동안 면역 상태가 되고 다른 스킬들의 쿨타임이 50% 감소됨) 드루이드 : 회색곰의 격노 (49초 쿨타임, 저지 불가 상태 곰인간이 되고 피해 감소 20%) 강령술사 : 뼈 폭풍 (60초 쿨타임, 피해 감소 15%와 극대화 확률 20% 증가) 등록한 스킬을 이용한 공격 시나리오 긴급 회피 기술 (키보드 스페이스 바)을 이용하여 적에게 순간적으로 근접. 천천히 다가가면 적에게 공격당해서 죽습니다. 키보드 2번 버튼을 눌러 근처의 적을 군중 제어 상태로 만들기 마우스 좌측 버튼을 눌러 기본 기술을 사용하여 자원을 회복하고 적을 상태 이상 상태로 만들기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자원을 소모하며 핵심 스킬 연타 적에게 공격당해서 위험해지면 키보드 1번 버튼을 눌러서 생존기를 이용 위험 탈출 적이 거의 다 죽어간다 판단되면 키보드 3번 버튼을 눌러서 마무리 적이 엘리트(정예몹)라서 잘 안 죽는다면 키보드 4번 버튼을 눌러서 궁극기를 발동하여 강력한 공격 퍼붓기 이동한 후 1번부터 7번까지 반복 사냥이 원활하지 않거나 무언가 조합이 잘 맞지 않는다 생각이 들면 스킬 선택 초기화 후 부족한 부분을 메꿀 수 있는 스킬을 선택 맺음말 디아블로 4는 개발진이 정답이 없는 게임이란 것을 강조하는 만큼, 이번에 나만의 빌드 만들기 방법을 참조하셔서 한번 스킬 트리를 만들어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다른 사람이 만들어둔 스킬 트리를 따라 하는 것보다 나만의 트리를 만드는 것이 생각보다 무척 재미있습니다. 좋다 싶으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유하여 “감사합니다.”란 말을 들어 볼 수도 있고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